행정·공공기관 정보자원 클라우드 전환·통합 추진계획이 아래와 같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 2021.07.27 ‘행정·공공기관 정보자원 클라우드 전환·통합 추진계획’
올해부터 5년 동안 행정기관과 공공기관이 운영 중인 모든 정보시스템(10,009개)을 클라우드로 전면 전환·통합
1. 추진배경
- 코로나19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
- 다수 기관의 정보시스템이 소규모 전산실에서 운영 중으로 운영상 한계(설비 미흡, 보안 취약, 전담 인력 부족 등)
- 공공부문의 선도적인 클라우드 활용에 대한 요구 확대(국내 민간클라우드 산업 활성화를 위함)
2. 정보자원 현황 및 시사점
- 정보자원(서버, 스토리지, 백업장비 등) 50% 이상이 내용연수(6년 이상)를 경과하였음
- 전체 전산실(1,049개) 중 60% 이상이 소규모로서 장애 대처 역량 미흡(재해복구 능력, 보안침해사고 예방 등)
3. 정보자원 클라우드 전환·통합 방안
5개년 로드맵으로 진행
-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中 디지털 뉴딜 목표
: 2020년 17% -> 2022년 50% -> 2025년 100%
- 연도별 클라우드 전환계획
4. 향후일정
○ 관계기관 의견수렴 및 기재부 예산협의(5~8월)
○ 1차년도(2021년) 클라우드 전환 실시(430개 시스템, 8~12월)
○ ‘22년 기관별 클라우드 전환 이행계획 수립, 제출(12월)
○ 공공부문 클라우드 이용안내서 마련, 배포(12월)
# 공공·민간 클라우드센터 대상 구분
- 공공클라우드센터 :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정보자원 통합기준(행정안전부 고시)’에 따라 국가안보, 수사·재판, 내부업무 처리 등을 다루는 정보시스템을 운영
- 민간클라우드센터 : 이를 제외한 정보시스템은 보안 및 안정성을 인증받은 민간 클라우드를 이용
# 공공부문 클라우드 전환 시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SaaS) 우선 활용
- 공공부문 클라우드 전환 시 공공 업무시스템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로 대체할 수 있는 경우에는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SaaS)를 우선 활용
※ SaaS(Software as a Service) :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응용SW를 설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 2022.02.16 ‘공공부문 클라우드 민간협의회 1차 회의 개최’
□ 그동안 공공부문의 클라우드 정책 전반과 공공 클라우드 전환사업 현안에 대해 민간기업, 전문가 등과 함께 사업을 논의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지속 제기되어옴
○ 이에 행정안전부는 ▴클라우드 활용모델, ▴과금체계 및 보안 등 안전성 기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이용 촉진 등 클라우드 정책 전반에 걸쳐 실질적인 실행방안을 모색해 나가기 위해 민간협의회를 구성하게 되었다고 배경을 설명
□ 첫 번째 개최된 이번 회의에서 행정안전부는 민간 클라우드 중심으로 전환사업을 추진하고, 이를 위한 법·제도 정비, 이용 제도 마련 등 올해의 공공부문 클라우드 사업 추진방향을 소개
○ 특히, 민간 클라우드가 행정‧공공기관에 다양한 형태로 정착될 수 있도록 클라우드 활용 모델*을 개발하고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 (예시1) 민간기업이 기관 전용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 해당기관은 이용료를 지불
* (예시2) 다수 클라우드 사업자를 활용한 멀티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등
□ 또한, 공공부문에서 민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이용을 활성화하는 방안도 논의된다.
□ 회의 개요 ○ (목적) 공공부문 클라우드 정책 및 전환사업 추진방향 논의 ○ (일시) ’22. 2. 17.(목) 14:00 ~ 15:30 ○ (방식) 영상회의 ○ 참석대상 -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국장, 디지털자원정책과장 - (전문기관) NIA 공공클라우드사업단장, KLID 클라우드본부장 - (참여기업) CSP(8개 社), MSP(26개 社), SaaS(24개 社), 협회(2개) ○ 회의 주제 - 공공부문 클라우드 민간협의회 구성 및 운영 방안 - ‘22년 공공부문 클라우드 정책 및 전환사업 추진방향 |
ㅇ CSP (Cloud Service Provider, 8개 社)
ㅇ MSP (Managed Service Provider, 26개 社)
ㅇ 협회 (2개)
|
'재테크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마 분석] 광군제 수혜주, 주가 상승 가능할지 (0) | 2022.10.28 |
---|---|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1.50% -> 1.75%), 5월 금통위 리뷰 (1) | 2022.05.28 |
(금융위원회)퇴직연금감독규정 개정안 규정변경예고 및 향후 계획 (0) | 2022.05.16 |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1.25% -> 1.50%), 4월 금통위 리뷰 (0) | 2022.04.16 |
국민연금 2021년 4분기 대량보유현황 정리 (0) | 2022.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