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cesSharedRoot는 mmsysmonitor을 통해 모니터링 됩니다.

gpfs.snap 명령어를 통해 /var/adm/ras/mmsysmonitor.log가 생성됩니다.

만약 해당 파일 용량이 너무 크다면 아래와 같이 정리가 가능합니다.

 

 

root@server01:[/var] df -Pg

Filesystem GB blocks Used Available Capacity Mounted on
/dev/hd4 5.00 0.51 4.49 11% /
/dev/hd2 10.00 6.29 3.71 63% /usr
/dev/hd9var 5.00 3.97 1.03 80% /var
...          

 

 

root@server01:[/var] ls

aacct    cim     dt     empty     ha     lib     log     mmfs     ncs     opt     perf     probevue     security     spool

statmon     symapi     adm     ct     ecc     esa     hacmp     locks     lost+found     msgs     news     pconsole

preserve     run     snapp     suma     tmp     websm

 

 

root@server01:[/var] cd adm

root@server01:[/var/adm] du -sm ./* | sort -nr | head -10

3220.53 ./ras

226.67   ./cron

88.59     ./syslog

...

 

 

root@server01:[/var/adm] cd ras

root@server01:[/var/adm/ras] du -sm ./* | sort -nr | head -10

3210.64 ./mmsysmonitor.log

3.26 ./livedump

1.00 ./errlog

...

 

 

root@server01:[/var/adm/ras] cat /dev/null > ./mmsysmonitor.log

root@server01:[/var/adm/ras] df -Pg /var

Filesystem GB blocks Used Available Capacity Mounted on
/dev/hd9var 5.00 0.84 4.16 17% /var
728x90
728x90

1. crontab 파일 권한 부여

[LINUX] '/etc/cron.allow' OR '/etc/cron.d/cron.allow'

[AIX] '/var/adm/cron/cron.allow'

[HP-UX] '/usr/lib/cron/cron.allow'

[Solaris] '/etc/cron.d/cron.allow'


# root계정으로 cron.allow 수정하여 해당계정 추가(한 라인에 사용자 이름 하나씩)

  crontab 생성, 편집, 표시, 제거 가능 crontab 생성, 편집, 표시, 제거 불가능
cron.allow (O) cron.allow에 나열된 사용자만 나머지
cron.allow (X)
cron.deny (O)
cron.deny에 나열된 사용자를 제외한 모든 사용자 cron.deny에 나열된 사용자
cron.allow (X)
cron.deny (X)
슈퍼유저 권한 필요(ex. root) 슈퍼유저 제외 나머지 모두

 

 

2. crontab 파일 권한 여부 확인 방법

#해당 사용자계정으로 로그인

#crontab -l

crontab: can't open your crontab file

-> 1) crontab 파일 존재하는지 확인 필요 2) crontab 파일 권한 확인 필요

crontab: you are not authorized to use cron. Sorry.

-> 1) cron.allow 파일에 사용자 이름 등록 필요

 

 

3. crontab 파일 존재 여부 확인 방법

#cat /var/spool/cron 하위에 계정명으로 파일이 존재

#root 계정의 crontab 파일은 '/etc/crontab' 파일을 참조함.

#cd /var/spool/cron
#ll
-rw------- 1 sysman sysman 7 Jan 2 09:00 sysman
-rw------- 1 test1 testgrp 8 Jan 10 09:00 test1

 


4. crontab 파일 설정 방법

1) crontab 목록 확인 방법

#crontab -l

#crontab -l
0 2 * * * su - root /home/work/rdate.sh
0 1 * * * su - root /root/IM/bin/scripts/backup.sh
5,35 * * * * su - root /root/IM/bin/scripts/import.sh start
12-15 * * * * su - root /root/IM/bin/scripts/export.sh start

## 매일 2시 rdate.sh 실행
## 매일 1시 backup.sh 실행
## 매시 5분, 35분마다 import.sh 실행
## 매시 12분, 13분, 14분, 15분마다 export.sh 실행

2) crontab 설정 방법

#crontab -e

2-1) 다른 사용자 계정 crontab 설정 방법

#crontab -e 사용자계정명

필드번호 의미 비고
첫번째 필드 "분(minute)" 0~59분 설정가능
두번째 필드 "시(hour)" 0~23시 설정가능
세번째 필드 "일(day)" 1~31일 설정가능
네번째 필드 "월(month)" 1~12월 설정가능
다섯번째 필드 "요일(weekday)" 0~7 설정가능(0/7: 일요일, 1:월요일 ..)
여섯번째 필드 "실행권한 및 실행될 내용"  

 

3) crontab 삭제 방법(해당 사용자에 설정된 모든 crontab 작업 삭제)

#crontab -r

 

 

5. crontab 로그 확인 방법

# cat /var/log/cron 확인

728x90
728x90

어플리케이션에서 파일 open한 상태에서 파일 삭제가 이뤄질 때 문제가 발생 가능합니다.

-> OS 레벨에서는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하면 해결됩니다.

ex) cron에 주기적으로 오래된 로그파일을 삭제하는 로직이 도는 경우에 저런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df -h

명령어에서 볼 때는 사용량이 많은데

 

#du -sh *

명령어에서 볼 때는 사용량이 적다.

 

->

#lsof /postgres | grep -i delete

를 통해 나오는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재시작

<OR> 프로세스 Kill

<OR> 시스템 재기동

 

등을 통해 조치가 가능합니다.

 

 

 

The df and du commands provide different system information and I can not write to a partition that df says is 100% full. Which is correct and why does the system not allow any data writes to this partition? - Red Hat Customer Portal

 

The df and du commands provide different system information and I can not write to a partition that df says is 100% full. Which

Unable to find which files are consuming disk space. Why is there a mismatch between df and du outputs? The df and du commands provide different information and I can not write to a partition that df says is 100% full. Which is correct and why does the sys

access.redhat.com

 

728x90
728x90

EOL : End Of Life
- 서비스 혹은 판매에 대한 모든 상태가 종료된 상태
- 더 이상 유지보수 자체가 되지 않음

EUS : End Update Support

EOS : End Of Service
- 서비스 혹은 판매가 중단 된 상태
- 더 이상 서비스 혹은 판매를 할 수 없는 상태
- 다만, H/W의 경우 간혹 부속품에 대해서 교체는 가능하며, S/W의 경우 간혹 업데이트가 일어 날 수 있음

EoSPS : End of Service Pack Support


✅ REDHAT 5, 6, 7 EOL

[RHEL 5]
Release date : 2007년 03월 14일
EOL : 2017년 03월 31일
EOL 연장 : 2020년 11월 30일

[RHEL 6]
Release date : 2010년 10월
EOL : 2020년 11월 30일

[RHEL 7]
Release date : 2014년 06월 10일
EOL : 2024년 06월 30일

REDHAT(RHEL) 7
RHEL 7.1 (ended March 31, 2017)
RHEL 7.2 (ended November 30, 2017)
RHEL 7.3 (ended November 30, 2018)
RHEL 7.4 (ends August 31, 2019)
RHEL 7.5 (ends April 30, 2020)
RHEL 7.6 (ends May 31, 2021)
RHEL 7.7 (ends August 30, 2021; Final RHEL 7 EUS Release)

참고 URL : Red Hat Enterprise Linux Life Cycle - Red Hat Customer Portal

Red Hat Enterprise Linux Life Cycle - Red Hat Customer Portal

The Red Hat Customer Portal delivers the knowledge, expertise, and guidance available through your Red Hat subscription.

access.redhat.com


✅ CentOS 5, 6, 7 EOL

[CentOS 5]
Release date : 2007년 04월 12일
EOL : 2017년 03월 31일

[CentOS 6]
Release date : 2011년 07월 10일
EOL : 2020년 11월 30일

[CentOS 7]
Release date : 2014년 07월 07일
EOL : 2024년 06월 30일

[CentOS 8]
Release date : 2019년 09월 24일
EOL : 2021년 12월 31일

  • CentOS 8은 2021년 12월 31일에 지원 중단
  • CentOS는 향후 CentOS Stream 으로 전환
  • CentOS Stream는 RHEL 업스트림 (개발) 배포판

✅ AIX 6, 7 EOL

[AIX 6.1]
(AIX 6.1 TL9)
Release Date : 2013년 11월
EoSPS : 2017년 04월 30일 (EOS)

[AIX 7.1]
(AIX 7.1 TL5)
Release Date : 2017년 10월
EoSPS : 2022년 04월 30일 (EOS)

(AIX 7.1 TL4)
Release Date : 2015년 12월
EoSPS : 2019년 12월 31일(추정)

(AIX 7.1 TL3)
Release Date : : 2013년 11월
EoSPS : 2017년 11월 30일

[AIX 7.2]
(AIX 7.2 TL5)
Release Date : : 2020년 11월
EoSPS : 2023년 11월 30일(추정)

(AIX 7.2 TL4)
Release Date : : 2019년 11월
EoSPS : 2022년 11월 30일(추정)

(AIX 7.2 TL3)
Release Date : : 2018년 09월
EoSPS : 2021년 09월 30일

(AIX 7.2 TL2)
Release Date : : 2017년 10월
EoSPS : 2020년 10월 31일

(AIX 7.2 TL1)
Release Date : : 2016년 11월
EoSPS : 2020년 11월 30일

(AIX 7.2 TL0)
Release Date : : 2017년 10월
EoSPS : 2020년 12월 31일

AIX support lifecycle information (ibm.com)


✅ Windows Server 2008, 2012, 2016 EOL

[Windows Server 2008]
시작날짜 : 2008년 05월 06일
일반 종료 날짜 : 2015년 01월 13일
연장된 종료 날짜 : 2020년 01월 14일

[Windows Server 2012 R2]
시작날짜 : 2013년 11월 25일
일반 종료 날짜 : 2018년 10월 09일
연장된 종료 날짜 : 2023년 10월 10일

[Windows Server 2016]
시작날짜 : 2016년 10월 15일
일반 종료 날짜 : 2022년 01월 11일
연장된 종료 날짜 : 2027년 01월 12일

제품 및 서비스 수명 주기 정보 검색 | Microsoft Docs

제품 및 서비스 수명 주기 정보 검색

참고 수명 주기 내보내기 페이지에서 수명 주기 정보를 내보냅니다. Microsoft 수명 주기는 제품 수명 동안 일관되고 예측 가능한 지원 지침을 제공하여 고객이 IT 투자 및 환경을 관리하는 동시에

docs.microsoft.com

728x90
728x90

표기용량과 실제용량 차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십진 접두어 기준

이진 접두어 기준

차이

비율

비고

kB | KiB

10001

10241

24

0.9766

1 KB당 24 B의 차이 발생

MB | MiB

10002

10242

48 576

0.9537

1 MB당 약 47.4 KiB의 차이 발생

GB | GiB

10003

10243

73 741 824

0.9313

1 GB당 약 70.3 MiB의 차이 발생

TB | TiB

10004

10244

99 511 627 776

0.9095

1 TB당 약 92.7 GiB의 차이 발생

PB | PiB

10005

10245

약 1.259 × 1014

0.8882

1 PB당 약 114.5 TiB의 차이 발생

EB | EiB

10006

10246

약 1.529 × 1017

0.8674

1 EB당 약 135.8 PiB의 차이 발생

ZB | ZiB

10007

10247

약 1.806 × 1020

0.8470

1 ZB당 약 156.6 EiB의 차이 발생

YB | YiB

10008

10248

약 2.089 × 1023

0.8272

1 YB당 약 177.0 ZiB의 차이 발생

해당 차이는 단위가 커질수록 복리의 효과가 나타납니다. 1 KB는 2.3%이지만, 1 MB는 4.6% 차이가 나고, 1 GB는 6.8%, 1 TB가 되면 9.0%가 차이가 나게 됩니다.

'포맷', '파티션' 등 OS, 제조사 등에 따라 추가적인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다 정밀한 실제용량이 필요하다면, 제조사에 문의하는 것이 가장 좋을듯합니다.

 

 

 

기억장치/표기 용량과 실제 - 나무위키 (namu.wiki)

 

기억장치/표기 용량과 실제 - 나무위키

 

namu.wiki

 

728x90
728x90

** 디스크 증설 작업 후 pv, vg, lv 생성시에 unknown partition table 메시지 발생

-> 해당 디바이스에 파티션 구성이 되어 있지 않아서 create 명령어 수행시마다 뜨는 메시지

(LVM 환경에서 파티션 구성시는 안해도 관계 없음)

# parted /dev/sdb
(parted) print
(parted) mklabel msdos
(parted) quit

 

방안2) /dev/sdb1을 생성을 통한 조치 방법

✅2TB 이상의 스토리지를 사용할 때는 MBR 방식(msdos) 대신 GPT 방식을 사용해야함

*기본적으로 linux partition은 MBR(Master boot Record) 방식이다. 그런데 이 MBR의 파티션당 최대 크기는 2TB이다.

 따라서 18EB(엑사바이트)까지 파티션 크기를 잡을 수 있는 GPT(GUID partition Table) 방식을 써야한다.

[조치결과]

[root@hostname ~]# lsblk
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
sda                   8:0       0   557.8G   0   disk
⊢sda1               8:1       0         1G   0   part  /boot
⨽sda2               8:2       0       16G   0   part  [SWAP]
⨽sda3               8:3       0   540.8G   0    part
  ⊢rootvg-rootlv 253:0     0      50G    0    lvm  /
...
sdb                  8:16      0     12.2T   0    disk
⨽sdb1              8:17      0      12.2T   0    part

[조치방안]

parted /dev/sdb
GNU Parted 3.1
Using /dev/sdb
Welcome to GNU Parted! Type 'help' to view a list of commands.
(parted) print
Model : FTS PRAID EP420i (scsi)
Disk /dev/sdb: 13.4TB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B/4096B
Partition Table : gpt
Disk Flags:

Number   Start   End     Size   File system   Name   Flags

(parted) mklabel gpt
(parted) print
(parted) mkpart primary 0 100%
Warning: The resulting partition is not properly aligned for best performance
Ignore/Cancel? Ignore
(parted) print
Model : FTS PRAID EP420i (scsi)
Disk /dev/sdb: 13.4TB
Sector size (logical/physical): 512B/4096B
Partition Table : gpt
Disk Flags:

Number   Start   End     Size   File system   Name   Flags
1          17.4KB 13.4TB 13.4TB                  primary
(parted) quit
lsblk

 

** 참고사항

What causes "unknown partition table" events and how can I prevent them from being logged ? - Red Hat Customer Portal

 

What causes "unknown partition table" events and how can I prevent them from being logged ? - Red Hat Customer Portal

A large number of "unknown partition table" events are constantly being logged in /var/log/messages file: Jul 7 15:01:21 hostname kernel: sdel: unknown partition table Jul 7 15:01:21 hostname kernel: sdaq: unknown partition table Jul 7 15:01:21 hostname ke

access.redhat.com

 

728x90
728x90

1. OS 버전 확인
    1) base 기준(권장)
# oslevel -qs | more
상단 버전 확인
6100-09-05-1524
6400-09-04-1441 등
    2) 전체 기준
#oslevel -s
6100-09-02-1412

** 6100-09-02-1412는 2014년 12주차에 나온 버전이고, AIX 6.1.9.2버전이자 AIX 6.1 TL9 SP2버전이다.

2. 서버 모델 확인
# uname -M
IBM, 8286-41A
** 시리얼번호 확인도 필요하면 u옵션 사용
# uname -uM

3. CPU 확인
    1) 모델 확인
# prtconf | grep -i processor
Processor Type : PowerPC_POWER8
Processor Clock Speed : 4116 MHz
= 4GHz
    2) Core 확인
HMC 접속하여 해당되는 서버의 특성 선택하여 프로세서 확인 =8Core


4. MEMORY 확인

    command를 통한 확인

# rmss -p
Simulated memory size is 122880 Mb.
= 120GB

    HMC에서 확인(권장)


5. DISK 확인
# lsdev -Cc disk
hdisk0 Available 02-00-00 SAS Disk Drive
hdisk1 Available 02-00-00 SAS Disk Drive
hdisk2 Available 02-00-00 SAS Disk Drive
hdisk3 Available 05-00-00 SAS Disk Drive
hdisk4 Available 05-00-00 SAS Disk Drive
hdisk5 Available 05-00-00 SAS Disk Drive

# lscfg -vl hdisk0
hdisk0 SAS Disk Drive (300000 MB)
= 300GB

728x90
728x90

✅실제 물리서버의 어느 포트에 케이블이 꽂혀있는지 확인 방법

BMC/iRMC 등에서 어느 어댑터에 케이블이 꽂아져있는지 확인할 수도 있고
아니면 명령어로 물리적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해당되는 인터페이스에 불이 들어옴)
# ethtool -p (인터페이스 명)

 

✅어느 어댑터에 고정 IP 설정하기 위한 방법(BONDING 구성)

만약 ens192와 ens242를 본딩구성하고자 한다면(RHEL 7버전에서)

#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 vi ifcfg-ens192
TYPE=Ethernet
BOOTPROTO=none
NAME=ens192
DEVICE=ens192
ONBOOT=yes
MASTER=bond0
SLAVE=yes

# vi ifcfg-ens242
TYPE=Ethernet
BOOTPROTO=none
NAME=ens242
DEVICE=ens242
ONBOOT=yes
MASTER=bond0
SLAVE=yes

# vi ifcfg-bond0
TYPE=Ethernet
BOOTPROTO=none
NAME=bond0
DEVICE=bond0
ONBOOT=yes
BONDING_OPTS="mode=1 miimon=100"
IPADDR=192.168.0.104
PREFIX=24
GATEWAY=192.168.0.241

# systemctl restart network
# ip a | grep -i up
# cat /proc/net/bonding/bond0

# ping 192.168.0.241

** 만약 본딩 구성을 삭제하고 다시 잡아야한다면
# modprobe -r bonding
# systemctl restart nework

728x90

+ Recent posts